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 정리 및 실무 적용법

by soopdrawer 2025. 4. 20.

2025년 적용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가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한국엔지니어링협회에서 고시한 최신 노임단가표를 바탕으로 등급별 평균 단가와 함께 기계·전기·정보통신 등 직종별 세부 단가표까지 상세하게 안내합니다. 실적공사비 산정, 설계·감리 용역 입찰 실무에 바로 활용 가능한 정보를 확인해보세요.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란?

노임단가는 기술자 1인이 하루 동안 업무에 투입될 때의 평균 인건비를 말하며, 주로 공공 발주 설계·감리·기술용역 사업에서 실적공사비 산정의 기초 자료로 사용됩니다. 이 단가는 매년 말 기준으로 한국엔지니어링협회에서 조사·고시하며, 기술자의 등급 및 직무 분야에 따라 차이가 발생합니다.


2025년 기술자 등급별 평균 노임단가표

아래는 2025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술자 등급별 평균 노임단가입니다. (단위: 원/일)

기술등급 2025년 단가
기술사 455,211
특급기술자 397,079
고급기술자 346,345
중급기술자 296,507
초급기술자 273,830
고급실무자 263,277
중급실무자 233,447
초급실무자 202,031

 

📌 평균 근무일수: 20.5일
※ 세부 직종별 단가는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직종별 세부 단가표 (2025년 기준)

다음은 대표 직종별 기술사 등급 기준 노임단가입니다. (단위: 원/일)

기술등급 기계 전기 정보통신 건설
기술사 470,112 451,475 450,375 452,078
특급기술자 401,358 384,600 378,634 387,277
고급기술자 350,214 320,347 300,800 321,880
중급기술자 298,925 292,998 278,304 292,650
초급기술자 289,061 288,653 272,062 286,174

 

※ 기타 직종: 환경, 원자력, 항공 등은 한국엔지니어링협회 홈페이지 참고


실적공사비 계산 시 노임단가 적용법

기술자 투입일수 × 해당 등급의 단가 = 인건비 총액

예시: 중급기술자 2명이 10일 투입된 경우: 296,507 × 2 × 10 = 5,930,140원

계산된 인건비 총액은 실적공사비의 인건비 항목으로 적용되며, 설계비·감리비 산정 시 핵심 요소로 활용됩니다.


입찰 시 유의사항

  • 항상 최신 노임단가 기준을 적용해야 하며, 기준 연도 표기 필수
  • 노임단가 기준표(공식 고시문 PDF)를 첨부하면 가점 요인
  • 기술자 투입계획서와 연동되어야 함 (근무일수, 등급 일치 여부 등)

자주 묻는 질문 (FAQ)

  1. Q. 건설기술자 단가와 동일한가요?
    아닙니다. 엔지니어링 노임단가는 건설기술인협회의 단가와 기준이 다르므로 반드시 분리해서 적용해야 합니다.
  2. Q. 프리랜서 기술자 계약 시에도 이 단가를 참고할 수 있나요?
    네. 공공 사업 참여 시 해당 단가가 기준이 되므로 계약 협의의 기초자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마무리 정리

2025년 엔지니어링 기술자 노임단가는 입찰 실무뿐 아니라 감리비, 설계비 산정의 기준으로 활용되며, 기술자 등급과 직무 분야별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포스팅의 정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도 오류 없이 반영하시길 바랍니다.

 

📌 참고 자료
- 한국엔지니어링협회 공식 홈페이지

- ETIS엔지니어링종합정보시스템


포스팅이 유익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려요 😊